-
🚑 응급 편-열사병 의심 시 10분 행동 & 119 전환 기준(현장용)육체적 건강 2025. 8. 24. 17:25
이 글은 응급 판단을 돕기 위한 일반 정보입니다.
증상이 심하거나 애매하면 즉시 119에 연락하세요.
0. 먼저, “바로 119”부터
아래 중 하나라도 보이면 지체 없이 119. 동시에 냉각은 계속합니다.
- 의식 변화(대답이 느리거나 횡설수설, 졸음, 실신)
- 경련/움찔거림, 심한 혼돈
- 피부가 매우 뜨겁고 건조(발한 감소) 또는 40℃ 의심 고열
- 숨 가쁨/가슴 통증/창백 또는 청색증
- 10분 냉각·수분 보충에도 증상 악화
1. 경고 신호 3단계(자가 체크 카드) 🚨
초기(열 피로)
- 과도한 땀, 갈증, 근육 경련(쥐), 어지럼, 두통, 심박수↑
→ 그늘 이동, 의복 느슨, 물 200–300ml 한 모금씩, 전해질 보강
중간(열 탈진)
- 메스꺼움·구토, 극심한 피로, 차갑고 끈적한 피부, 집중 저하
→ 즉시 활동 중단, 눕혀 다리 살짝 올림, 젖은 수건+선풍기/부채로 냉각, 전해질 보충
심각(열사병 의심)
- 의식 저하/혼돈, 경련, 땀이 줄고 피부가 뜨겁고 건조, 고체온
→ 119 신고, 그늘·실내에서 전신 냉각. 의식 없으면 음료 금지.
2. 10분 행동 매뉴얼(타이머 스타트) 📢
00:00–01:00 | 위치 전환
- 그늘/실내로 이동. 가능하면 바닥보다 서늘한 바람이 통하는 곳.
- 의복 느슨(벨트·넥·양말), 신발 끈 풀기.
01:00–03:00 | 냉각 1차: 증발 냉각
- 젖은 수건/분무 + 바람(선풍기/부채) → 피부 넓은 면에 고루.
- 땀이 식어 피부가 건조해지면 다시 물. (젖은 상태 + 바람 = 핵심)
03:00–06:00 | 냉각 2차: 얼음팩 3곳
- 얼음팩/아이스 물병을 목·겨드랑이·사타구니(대혈관) 3곳에 교대로.
- 없다면 병에 찬물, 생수통, 차가운 음료 캔을 대용.
병행) 수분·전해질
- 의식 명료 & 구역질 없으면: 150–250ml씩 한 모금, 전해질 보강(이온음료/파우더 ½–1배 농도).
- 의식 저하/구토면 음료 금지(흡인 위험). 냉각만 지속.
06:00–10:00 | 재평가 & 연락
- 어지럼/오한/혼돈 지속 ↔ 회복 확인.
- 나아지지 않거나 애매하면 119. 통화 중에도 냉각은 계속.
- 동행자는 주소/랜드마크, 증상 시작 시각, 선행 조치(물, 냉각)를 간단·또박또박 전달.
가능하면 찬물 샤워, 선풍기 앞으로 바로 이동. 현장에 욕조·수조가 있으면 찬물 관주/침수 냉각(어깨 위로 물 붓기)도 효과적입니다.
3. 119 전환 기준(간단 체크)
- 의식 변화, 경련, 보행 불가/비틀거림
- 체온 고열 의심(만져도 뜨거움), 발한 감소/건조피부
- 10분 냉각 + 전해질에도 호전 없음
- 심한 구토/탈수 의심으로 마시기 어렵다
- 영유아·어르신·임산부·만성질환자의 중등도 이상 증상
☎ 전화 요령(30초):
“폭염 의심, 어지럼/의식 흐림, 10분 냉각 중입니다. 위치는 ○○구 ○○공원 남문 근처. 젖은 수건+선풍, 얼음팩 적용했고 물 200ml 섭취했습니다.”4. 차량·이동 중 급상승 대응
- **차량 내부는 수 분 안에 50℃+**까지 상승. 차내 대기 금지.
- 이동 중 이상 신호면 바로 정차 → 그늘/실내 이동.
- 에어컨 냉기 직바람 + 젖은 수건을 목·팔·다리에.
- 어린이·반려동물 단 1분도 방치 금지. 의심 시 119 우선.
5. 현장 냉각 3종 세트 & 팀 체크인
🧴 휴대 세트(백팩/트렁크 고정):
- 분무병 + 핸디 선풍기(증발냉각)
- 쿨타월 2장, 얼음팩 2–4개(쿨러/보냉 백)
- 전해질 파우더 스틱 2–3개, 500ml 물 2병 이상
- 얇은 대형 수건(즉석 침수 냉각/덮개), 지퍼백(얼음팩 고정)
- 비상연락 카드(주소/혈액형/지병/복용약)
🌡 팀 규칙(15분 체크-인):
- 서로 얼굴빛·말투 확인(혼돈, 말 느려짐, 이상행동)
- WBGT/체감온도가 높을수록 작업–휴식 블록을 짧게(20–40분 활동 / 10–20분 냉각)
6. 수분·전해질 프로토콜(응급·회복) 🧊
- 응급 중(의식 명료): 150–250ml씩 작게·자주, 15분마다.
- 활동 60분↑ 또는 구내염 짠맛 갈망/소금기 많은 땀 자국 → 전해질 보강(제품 지시 농도 ½–1배).
- 저 나트륨(물중독) 예방: 단시간에 물만 과량 마시지 말고 전해질 동반.
- 금지: 의식 저하·구토 시 음료/알약 금지(흡인 위험). 119 대기 중 냉각만.
7. 회복 & 재발 방지(다음 24시간)
- 2–3시간 그늘·실내 안정을 최우선, 샤워는 미지근한 물 3–5분.
- 알코올·강한 운동·사우나는 24시간 금지.
- 물 + 염분 포함 가벼운 식사(국/김/백김치/바나나).
- 증상 기록(시각·활동·온도·대처) → 다음 일정 시간대 수정.
- 야외 일정 잦다면 WBGT 알림 앱, 체감온도·습도 위젯을 홈에 고정.
8. 프린트/저장용 체크리스트(한 장) 📑
⛱ 그늘–의복–냉각–전해질–119
- 그늘/실내 이동, 신발·벨트·넥 느슨
- 젖은 수건/분무 + 바람 → 피부 넓게(계속 촉촉하게)
- 얼음팩 3곳(목·겨드랑이·사타구니) 교대
- 의식 명료 시 전해질 포함 150–250ml씩
- 10분 재평가: 악화/애매함 = 119(냉각 지속)
✅ 오늘의 요약(5포인트)
- 의식 변화/경련/고열 의심 = 바로 119
- 10분 냉각 매뉴얼: 젖은 수건+바람 → 얼음팩 3곳 → 재평가
- 의식 저하·구토 시 음료 금지, 냉각만 지속
- 차량·밀폐 공간 대기는 위험, 즉시 그늘·환기
- 회복 후 24시간 알코올/강운동 금지, 다음 일정은 시간대 전환
[여름 건강 시리즈 : 폭염 대처 가이드]
📌 사이트 정보
#폭염대비 #야외운동 #WBGT #체감온도 #수분보충 #전해질 #냉각도구 #열사병예방 #여름건강 #응급신호'육체적 건강' 카테고리의 다른 글
🌴 여름 통풍 — 24시간 하루 루틴 & 7일 리셋(물·전해질·라벨·체크리스트) (0) 2025.08.25 🍺 여름에 통풍이 심해지는 5가지 이유 + 하루 루틴(확장판) (0) 2025.08.25 야외 활동·운동 안전 가이드 — 더위 지수(WBGT) 읽는 법과 수분·전해질 전략 (0) 2025.08.23 🌆 열대야 숙면 루틴: 서큘레이터·타이머 7단계 (0) 2025.08.22 🌞 폭염 대비 체크리스트: 전해질·수분·응급 신호 한눈에 (0) 2025.08.21