ABOUT ME

-

Today
-
Yesterday
-
Total
-
  • 카톡 알림이 안 떠요? 해결 방법은
    IT. 모바일 2025. 10. 13. 15:17

     

    카톡이 조용해졌나요? 누구나 한 번씩 겪는 문제입니다. 다행히 대부분은 설정 2~3곳만 바로잡으면 즉시 해결됩니다. 이 글은 갤럭시·아이폰 공통으로 5분 만에 끝내는 7가지 점검표를 스크린 경로 그대로 안내합니다. 사진과 버튼 라벨을 그대로 따라만 하세요.

    [인아티클 광고 자리 #1]
    🔍 10초 빠르게 확인 (가장 흔한 3가지)
    1. 무음/방해금지가 켜져 있지 않은지 확인 — 전화는 울리는데 카톡만 조용하면 특히 의심.
    2. 앱 알림 허용이 꺼져 있지 않은지 (카카오톡 알림 허용 스위치).
    3. 배터리 최적화/ 절전이 켜져서 카카오톡이 화면 꺼진 뒤에 알림을 못 받는지 확인.

     

     

    1. 앱 알림 권한이 꺼짐

    ◾ 증상: 새 메시지가 와도 배너·소리 없음(앱을 열면 한꺼번에 표시).
    ◾ 갤럭시: 설정 → 알림 → 앱 알림 → 카카오톡알림 허용 켜기 → 대화/ 채널/ 오픈채팅 등 세부 알림도 켜기.
    ◾ 아이폰: 설정 → 알림 → 카카오톡알림 허용 켜기 → 잠금 화면/ 배너/ 알림 센터 체크 → 사운드 켜기.

     

    2. 방해금지/ 집중 모드가 카톡을 막음

    ◾ 증상: 화면 상단에 초승달(아이폰)·원형-마이너스(안드로이드) 아이콘, 전체가 조용함.
    ◾ 갤럭시(안드로이드 13+): 설정 → 알림 → 방해 금지 또는 모드 및 루틴예외에서 카카오톡 허용(앱/ 사람).
    ◾ 아이폰(iOS 16+): 설정 → 집중 모드 → 사용하는 모드(수면/업무 등) 선택 → 허용된 알림에서 사람·앱에 카카오톡 추가.

     

    3. 배터리 최적화/ 절전으로 화면 꺼진 뒤 실행 제한

    ◾ 증상: 화면 꺼진 뒤에만 알림이 늦게 몰림(앱을 켜면 폭탄처럼 옴).
    ◾ 갤럭시: 설정 → 배터리 및 디바이스 케어 → 배터리 → 배경 사용 제한(또는 앱 전원 관리) → '절전 중인 앱/ 깊은 절전 중인 앺'에서 카카오톡 제거 → '절전하지 않는 앱'에 카카오톡 추가. 또 설정 → 앱 → 카카오톡 → 배터리에서 '제한 없음'(배경 실행 허용) 선택.
    ◾ 아이폰: 설정 → 일반 → 배경 앱 새로 고침에서 카카오톡 켜기. 저전력 모드가 켜져 있으면 배경 새로 고침이 제한될 수 있으니 꺼진 상태로 테스트.

     

    4. 데이터 절약· Wi-Fi 어시스트· 네트워크 이슈

    ◾ 증상: 와이파이에서만 조용하거나, 모바일 데이터에서만 늦음.
    ◾ 갤럭시: 설정 → 연결 → 데이터 사용에서 데이터 절약 모드 끄기. 또는 무제한 데이터 사용 앱에 카카오톡 추가.
    ◾ 아이폰: 설정 → 셀룰러에서 카카오톡 데이터 켜기, Wi-Fi 지원 켜기/ 테스트. 라우터 문제 의심 시 기기 재부팅· 네트워크 재설정 후 테스트.

     

    5. 알림 종류/ 대화방별 설정이 개별로 꺼짐

    ◾ 증상: 특정 사람/ 채팅방만 조용함.
    ◾ 공통: 카카오톡 해당 대화방 → 우측 상단 메뉴 → 알림 켜기(종 모양) 확인. 카카오톡 앱 내 설정 → 알림에서 채팅·멘션·채널·오픈채팅 등 세부 항목을 켜기, 알림음/ 진동/ 팝업도 필요에 맞게 설정.

     

    6. 시계· 웨어러블 연동/ 자동화가 소리만 끔

    ◾ 증상: 웨어러블(갤워치/ 애플워치) 연결 시 휴대폰이 조용해짐.
    ◾ 갤럭시: 갤럭시 웨어러블 → 알림에서 카카오톡 허용/ 미러링 확인. 아이폰: Watch 앱 → 알림에서 카카오톡 미러링 켜기. 자동화(루틴/ 단축어)에서 ‘무음/ 방해금지’가 특정 장소· 시간에 켜지지 않는지 확인.

     

    7. 앱/ OS/ 시간 동기화 이상

    ◾ 증상: 알림 순서가 뒤바뀌거나 아주 늦게 도착.
    ◾ 공통: 카카오톡 최신 업데이트 → 스마트폰 시간 자동 설정(네트워크 시간) 확인. 여전히 이상하면 캐시/데이터 정리 후 로그인(백업 필수) 또는 앱 재설치.

    ⚠️ 흔한 함정
    • 절전 앱에 넣어 두고 “왜 안 오지?” — 가장 빈번합니다.
    • 대화방 개별 음소거를 잊고 전체 문제로 착각.
    • 기업/학교 와이파이의 알림 차단 정책(프록시/ 포트) — 모바일 데이터로 교차 확인.
    [인아티클 광고 자리 #2]

     

    8. 해결 후 이렇게 점검하세요 (30초)

    1. 다른 기기에서 본인에게 카톡 보내보기(또는 카카오톡 ‘나와의 채팅’).
    2. 화면이 꺼진 상태에서도 30초 내 도착하는지 확인.
    3. 대화방 알림음/ 배너가 정상 출력되면 완료.

     

    9. 결론: 3가지만 기억하면 대부분 해결

    알림 허용 · 방해금지/ 집중 모드 예외 · 배터리 최적화 해제. 이 3가지만 바로잡아도 10명 중 8~9명은 즉시 정상으로 돌아옵니다. 오늘 체크리스트를 저장해 두었다가, 가족· 부모님 폰에도 그대로 적용해 주세요.

     

     

    ✅ 오늘의 요약

    • 가장 흔한 원인: 알림 권한 끄기, 방해금지/ 집중 모드, 배터리 최적화.
    • 갤럭시: 설정→알림→앱 알림(카톡 허용) / 절전· 앱 전원 관리에서 제외.
    • 아이폰: 설정→알림(카카오톡 허용) / 집중 모드의 허용된 앱에 추가.
    • 데이터 절약· RCS/ 네트워크도 점검, 대화방 개별 음소거 해제.
    • 정상화 확인: 화면 꺼진 상태에서 30초 내 배너/ 소리 도착.

     

    손에 든 스마트폰 홈 화면 — 앱 아이콘이 선명한 알림 문제 해결 튜토리얼

    출처: Pexels – Zeleboba