ABOUT ME

-

Today
-
Yesterday
-
Total
-
  • 🧼 주말 디지털 대청소 2시간 프로토콜
    정신적 건강 2025. 8. 23. 22:09
    🎁 무료 PDF | 아침 30분 리셋 보드 v2

    Top3 → 30분 타임박스 → 포커스 → 에너지. 내일 아침부터 바로 쓰세요.

    한눈에 보기: 주말 2시간에 사진·앱·구독·홈 화면을 한 번에 정리하는 디지털 대청소 프로토콜.

    중복·잡음을 비우고, 다음 주를 가볍게 시작하도록 백업·자동화 점검까지 마무리합니다.

    목표는 ‘완벽’이 아니라 “다음 주가 더 쉽게 시작되는 상태”를 만드는 것입니다.

     

    정리된 책상 위 노트북과 스마트폰, 디지털 디톡스 시작을 상징

     

    루틴은 의도, 정리는 환경입니다.

    두 축이 만나야 행동이 굳어집니다.

    이번 가이드는 누구나 120분 안에 끝낼 수 있도록 순서·기준·측정을 구체적으로 제공합니다.

     

    📎 시작 전 준비물(5가지)

    • 현관/거실 폰 바구니 1개(언플러그 시 거치용)
    • 아날로그 알람시계 또는 기상용 타이머
    • 클라우드 로그인 상태 확인(iCloud/Google/OneDrive 등)
    • 브라우저 ‘웹으로 보기’ 북마크 폴더(SNS·쇼핑 주소 저장)
    • 체크리스트 기록용 메모/종이 1장(전·후 수치 기입)

     

    🧠 마인드셋 3가지

    1. 빼기부터: 좋은 것 고르기보다 나쁜 것(중복·알림·배지)을 먼저 뺀다.
    2. 보류의 힘: 망설여지면 ‘보류’로 4주간 묵히고 다음 대청소에서 결정한다.
    3. 가시성: 첫 화면은 쓰고 싶은 것만 보이게, 나머지는 한 단계 뒤로.

     

    ⏰ 타임테이블 (총 120분)

    1. 사진 정리 30분 — 스크린샷·연사·중복부터 삭제 → 앨범 5개(가족·작업·영수증·콘텐츠소스·보관)로 분류. iOS는 유사 항목에서 중복 삭제가 빠르다.
    2. 앱 다이어트 25분 — 30일 미사용 앱 제거, SNS·쇼핑·숏폼은 웹 전용으로 전환, 자동 로그인·푸시 OFF. 남기는 앱도 권한 최소화.
    3. 홈 화면 리디자인 20분 — 1페이지 = 검색·캘린더·할 일·타이머만, 아이콘 배지 0, 위젯 슬림화. 2페이지는 생산성·유틸만, 폴더명은 동사형(“기록·읽기·작성”).
    4. 구독 정리 25분 — 뉴스레터·유튜브·팟캐스트를 학습/영감/휴식 3바구니로 재편. ‘해지 5 · 보류 5 · 유지 10 이하’ 원칙을 적용.
    5. 백업·자동화 점검 20분 — 사진/연락처 동기화 완료 확인 → 수면/딥워크/언플러그 자동화가 시간·장소 기반으로 켜지는지 테스트.

     

    📅 체크리스트

    • 📸 스크린샷 폴더 비우기 · 중복 사진 50장↑ 삭제
    • 📱 미사용 앱 10개↑ 삭제 · SNS/쇼핑은 웹 접속만
    • 🏠 홈 1페이지 4종(검색·캘린더·할일·타이머)만 · 🔴 배지 0
    • 📰 구독 해지 5개 · 보류 5개 · 유지 10개 이하
    • ☁️ 사진·연락처 백업 완료 · 자동화 3모드 재확인

     

    💡 실전 팁(각 단계별 디테일)

    사진

    삭제는 ‘좋은 것 고르기’가 아니라 ‘나쁜 것 빼기’부터: 스크린샷 → 중복/흐림 → 의미 불명 순으로 휙휙 지운다. 영수증은 촬영 즉시 ‘영수증’ 앨범에 넣어 월말 10분 정산으로 끝낸다.

    앱·홈 화면

    삭제 기준은 간단하다. 30일 실행 0회이거나 웹으로 대체 가능하거나 유혹 유발(숏폼·쇼핑·게임)이면 삭제. 남기는 앱도 알림·위치·백그라운드 권한을 줄여 배터리와 주의를 함께 절약한다.

    구독

    해지는 열면 추천 폭주·시간 잡아먹는 채널,

    보류는 유용하지만 당장 과잉인 채널,

    유지는 이번 분기 목표에 직접 기여하는 소수만.

    보류는 캘린더에 4주 뒤 재평가 일정 등록.

     

    🏠 왜 ‘주말 디지털 대청소’인가

    일괄 정리는 의사결정 피로를 줄이고 다음 주의 착수 마찰을 낮춘다. 아침에 폰을 켰을 때 홈 1페이지가 비어 있고 배지가 0이라면 이미 절반은 이긴 셈이다. 남은 절반은 DAY26의 폰 없는 60분과 DAY27의 알림 최소화가 책임진다.

     

    🎯 전·후 비교 체크(측정 가능한 지표)

    항목 정리 전 정리 후 목표 메모
    홈 1페이지 앱 수 4개(검색·캘린더·할일·타이머) 배지 0
    삭제한 앱 10개 이상 웹 전환 여부 기록
    구독 해지/보류 해지 / 보류 5 / 5 유지 10개 이하
    스크린샷 삭제 50장 이상 중복 포함
    자동화 3모드 수동 시간·장소 자동 야간·딥워크·언플러그

     

    💡 실패 방지 Q&A

    Q. 다 지우려니 망설여져요.보류 폴더/레이블로 결정 2회 분할. 다음 대청소 때 최종 삭제.

    Q. 웹 전환이 불편하지 않나요? → 일부러 불편해야 무의식적 진입이 줄어요. 필요할 때만 로그인.

    Q. 배지를 0으로 두면 중요한 것도 놓치지 않나요? → 중요한 것은 화이트리스트·캘린더 리마인더로 들어옵니다.

    Q. 가족/팀의 반발이 있어요. → ‘긴급 시 전화 2회’ 규칙과 모드 시간대를 공유해 합의합니다.

    Q. 워치 진동이 오히려 방해돼요. → 워치도 동일 모드 연동, 알람만 허용으로 통일.

     

     

    📌 실전 사례

    사례 A. 직장인(협업 많음)

    팀 메신저는 멘션만 허용, 모든 채널은 읽지 않음 배지 0을 원칙으로 유지. 회의가 많은 날엔 ‘딥워크 90분’ 자동화를 오후에만 배치해 에너지 분배를 조정한다.

    사례 B. 시험 준비생

    홈 1페이지를 검색·타이머·플래너·단어장으로 구성. 유튜브는 웹 전용 북마크로만 접속하고, 저녁엔 언플러그 모드가 강제 실행되도록 위치(집 Wi-Fi) 트리거를 사용한다.

    사례 C. 육아 가정

    식탁·침실을 폰 프리 존으로 정하고, 가족 단톡은 멘션만 알림. 취침 전 1시간은 부모·아이 모두 책/대화/정리로 루틴을 맞춘다.

     

    부록 A. 주말 2시간 진행 스크립트(타이머용)

    00:00~00:05  목표 확인 · 전후 사진 캡처(홈 1페이지)
    00:05~00:35  사진 정리(스크린샷→중복→흐릿한 사진). 5-앨범으로 분류.
    00:35~01:00  앱 다이어트(미사용 10개 삭제, SNS/쇼핑 웹 전환).
    01:00~01:20  홈 화면 리디자인(4앱만 남기고 배지 0, 위젯 슬림화).
    01:20~01:45  구독 정리(해지 5, 보류 5, 유지 10 이하).
    01:45~02:00  백업·자동화 점검(수면/딥워크/언플러그 테스트) · 전후 비교 기록.
    

     

    부록 B. 전후 비교 기록 템플릿(복붙)

    • 홈 1페이지 앱 수: 정리 전 ___ → 정리 후 4
    • 삭제한 앱 개수: 정리 전 ___ → 정리 후 10+
    • 구독 해지/보류: 정리 전 ___ / ___ → 정리 후 5 / 5
    • 스크린샷 삭제: 정리 전 ___장 → 정리 후 50+장
    • 자동화 3모드: 정리 전 수동 → 정리 후 시간·장소 자동
    • 주중 평균 스크린타임: 정리 전 ___ → 정리 후

    ✅ 오늘의 요약

    • 🧹 주말 2시간 정리 = 다음 주 착수 마찰 최소화.
    • 📸 사진은 스크린샷·중복부터 삭제 → 5-앨범 분류.
    • 📱 미사용 앱 10+ 삭제, SNS·쇼핑은 웹 전용.
    • 🏠 홈 1페이지 4종(검색·캘린더·할일·타이머)만, 🔴 배지 0.
    • ⚙️ 수면·딥워크·언플러그 자동화가 시간·장소 기준으로 제대로 켜지는지 테스트.

    ⬇ 리셋 보드 v2 받기 (한글) ⬇ 리셋 보드 v2 받기 (영문)

     

     

     

    📌 사이트 정보